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체크하기

부동산 · 대출 정보 2025. 9. 16. 15:19
반응형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왜 체크해야 할까요?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마치 "신혼 할인 쿠폰"과 같아요. 결혼한 부부에게만 주어지는 특별한 혜택이죠. 하지만 이 쿠폰에는 유효기간과 사용 조건이 있어요. 내가 정확히 자격에 해당하는지 미리 체크하지 않으면 신청했다가 탈락하거나, 아예 기회를 놓칠 수 있어요. 신혼부부라고 해서 모두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거든요.

신혼부부 특별공급 기본 자격 4가지

1. 혼인 기간 조건

혼인신고일로부터 7년 이내여야 해요.

2. 주택 소유 조건

무주택세대구성원이어야 해요.

3. 소득 조건

중위소득 130% 이하 (맞벌이는 140% 이하)여야 해요.

4. 당첨 이력 조건

과거에 특별공급 당첨 이력이 없어야 해요.

자세한 자격 조건 체크리스트

✅ 혼인 기간 체크

기본 원칙:

  • 혼인신고일부터 계산 (결혼식 날짜 아님)
  • 7년 = 84개월 이내
  • 재혼도 인정 (현재 혼인신고일 기준)
  • 계산 예시:

  • 2018년 3월 15일 혼인신고 → 2025년 3월 14일까지 가능
  • 2020년 6월 1일 혼인신고 → 2027년 5월 31일까지 가능
  • 2024년 12월 10일 혼인신고 → 2031년 12월 9일까지 가능
  • ✅ 무주택세대구성원 체크

    무주택세대구성원이란?

    세대 내 누구도 집을 소유하지 않은 상태예요.

    세대 구성원에 포함되는 사람:

  • 본인과 배우자
  • 주민등록표상 같이 사는 직계존속 (부모, 조부모)
  • 주민등록표상 같이 사는 직계비속 (자녀, 손자녀)
  • 직계비속의 배우자 (며느리, 사위)
  • 주택으로 인정되는 것:

  • 아파트, 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 분양권 (아직 짓지 않은 아파트도 포함)
  • 입주권
  • 지분 소유도 주택 소유로 인정
  • 주택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

  • 상가, 오피스텔, 원룸 (주거용 제외)
  • 40㎡ 미만 소형주택 (1채에 한해)
  • 농어촌 특례 주택
  • ✅ 소득 조건 체크

    2024년 기준 소득 한도

    일반 부부 (중위소득 130%)

  • 2인 가족: 월 567만원
  • 3인 가족: 월 650만원
  • 4인 가족: 월 760만원
  • 5인 가족: 월 860만원
  • 6인 가족: 월 960만원
  • 맞벌이 부부 (중위소득 140%)

  • 2인 가족: 월 612만원
  • 3인 가족: 월 700만원
  • 4인 가족: 월 820만원
  • 5인 가족: 월 930만원
  • 6인 가족: 월 1,035만원
  • 맞벌이 인정 조건:

  • 부부 모두 소득이 있어야 함
  • 한 사람의 소득이 전체의 30% 이상이어야 함
  • 소득에 포함되는 것:

  • 근로소득 (세전 급여)
  • 사업소득
  • 재산소득 (임대료, 이자 등)
  • 기타소득
  • 소득에 포함되지 않는 것:

  • 비과세 소득 (식대, 교통비 등)
  • 육아휴직 급여
  • 출산 전후 휴가 급여
  • 실업급여
  • ✅ 특별공급 당첨 이력 체크

    당첨 이력이 있으면 안 되는 사람:

  • 본인
  • 배우자
  • 같은 세대 구성원
  • 예외 상황 (신청 가능):

  • 철거민 특별공급은 횟수에 포함 안 됨
  • 혼인특례 사용 가능한 경우
  • 출산특례 사용 가능한 경우
  • 쉬운 예시로 자격 체크해보기

    예시 1: 합격 사례

    김민수♥박영희 부부

  • 혼인신고: 2022년 5월 10일 (2년 8개월)
  • 주택 소유: 없음 (전세 거주)
  • 소득: 남편 4,000만원 + 아내 3,000만원 = 7,000만원
  • 자녀: 1명 (3인 가족)
  • 당첨 이력: 없음
  • 결과: ✅ 신청 가능! (맞벌이 3인 가족 기준 700만원 이하)

    예시 2: 불합격 사례 - 소득 초과

    이철수♥최민지 부부

  • 혼인신고: 2021년 3월 1일 (3년 10개월)
  • 주택 소유: 없음
  • 소득: 남편 8,000만원 + 아내 3,000만원 = 1억 1,000만원
  • 자녀: 2명 (4인 가족)
  • 당첨 이력: 없음
  • 결과: ❌ 신청 불가! (맞벌이 4인 가족 기준 820만원 초과)

    예시 3: 불합격 사례 - 주택 소유

    정대한♥한수연 부부

  • 혼인신고: 2023년 8월 15일 (1년 4개월)
  • 주택 소유: 남편 명의 오피스텔 1채
  • 소득: 남편 5,000만원 + 아내 2,000만원 = 7,000만원
  • 자녀: 없음 (2인 가족)
  • 당첨 이력: 없음
  • 결과: ❌ 신청 불가! (오피스텔도 주택으로 인정)

    예시 4: 합격 사례 - 혼인특례 사용

    박준호♥김소영 부부

  • 혼인신고: 2024년 2월 14일 (10개월)
  • 주택 소유: 없음
  • 소득: 남편 6,000만원 + 아내 2,000만원 = 8,000만원
  • 자녀: 없음 (2인 가족)
  • 당첨 이력: 남편이 이전 결혼 시 신혼부부 특별공급 당첨
  • 결과: ✅ 혼인특례 사용하여 신청 가능!

    우선순위 체크하기

    신혼부부 특별공급 내에서도 우선순위가 있어요.

    1순위: 혼인기간 3년 이내 + 무주택기간 2년 이상

  • 결혼한 지 3년 안 됨
  • 부부 모두 2년 이상 무주택
  • 2순위: 혼인기간 3년 이내 + 무주택기간 2년 미만

  • 결혼한 지 3년 안 됨
  • 무주택 기간이 2년 미만
  • 3순위: 혼인기간 3년 초과

  • 결혼한 지 3년 넘음
  • 같은 순위 내에서의 추가 우선순위:

  • 미성년 자녀 수 많은 순
  • 해당 시·도 거주 기간 긴 순
  • 청약통장 가입 기간 긴 순
  • 자격 체크 시 주의사항

    1. 임신 시 혜택

    임신 중이면 태아도 자녀 수에 포함돼요. 임신 확인서나 산모수첩으로 증빙 가능해요.

    2. 소득 계산 시점

    청약 신청 전월까지의 1년간 소득을 평균내서 계산해요.

    3. 세대 분리의 함정

    부모님과 세대 분리를 해도, 실제로는 같이 살고 있다면 한 세대로 봐요.

    4. 재혼 시 주의사항

    재혼이어도 현재 혼인신고일부터 계산해요. 하지만 이전 결혼에서의 당첨 이력은 남아있어요.

    자격 확인 순서

    1단계: 혼인신고일 확인

    혼인관계증명서에서 정확한 혼인신고일을 확인하세요.

    2단계: 세대구성원 파악

    주민등록등본으로 세대구성원을 모두 파악하세요.

    3단계: 주택 소유 여부 확인

    청약홈에서 무주택 확인서를 발급받아 확인하세요.

    4단계: 소득 계산

    소득증빙서류로 정확한 소득을 계산하세요.

    5단계: 당첨 이력 확인

    청약홈에서 특별공급 당첨 이력을 확인하세요.

    자주 하는 실수들

    1. 결혼식 날짜로 계산

    ❌ 결혼식 날짜 기준으로 계산

    ✅ 혼인신고일 기준으로 계산

    2. 세전/세후 소득 혼동

    ❌ 실수령액(세후)으로 계산

    ✅ 총급여액(세전)으로 계산

    3. 맞벌이 기준 착각

    ❌ 부부 중 한 명만 소득 있어도 맞벌이

    ✅ 부부 모두 소득 있고, 한 명이 30% 이상 벌어야 맞벌이

    4. 분양권 간과

    ❌ 분양권은 주택이 아니라고 생각

    ✅ 분양권도 주택 소유로 인정

    기억해야 할 핵심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체크는 "정확성"이 생명이에요. 하나라도 틀리면 부적격 당첨자가 되어 1년간 청약이 제한돼요. 특히 소득 계산과 무주택 여부는 매우 까다로우니까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충분히 검토한 후 신청하세요. 자격이 애매하다면 무리하지 말고 다른 기회를 기다리는 것도 현명한 선택이에요!

    반응형